본문 바로가기

더시스템7

바넘효과 (Barnum effect), MBTI가 딱 맞는 것 같은 이유 바넘효과 (Barnum effect)의 정의 바넘 효과는 자신에 대한 일반적이고 모호한 설명이나 진술이 광범위한 사람들에게 적용될 수 있는 경우에도 매우 정확하다고 믿는 인지적 편향입니다. 이 효과는 미국의 유명 쇼맨인 P.T. 바넘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습니다. 바넘 효과는 성격 묘사, 별자리 운세 또는 점술 진술이 너무 모호하고 일반적이어서 많은 사람들에게 적용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개인이 매우 정확하다고 인식할 때 발생합니다. 이러한 효과는 "당신은 사람들이 당신을 좋아하고 존경할 필요가 있다" 또는 "당신은 자신에 대해 비판적인 경향이 있다"와 같은 진술을 제공하는 성격 테스트에서 종종 보입니다. 이러한 진술은 매우 일반적이어서 거의 모든 사람에게 적용될 수 있지만, 많은 사람들이 그들의 성격을 .. 2023. 4. 23.
밴드왜건 효과(Bandwagon effect), 사람들이 유행을 따라가는 이유 밴드왜건 효과 ( Bandwagon effect)의 정의 밴드왜건 효과는 사람들이 단순히 다른 많은 집단이 같은 일을 하고 있다는 이유로 신념이나 행동을 취하는 경향이 있는 심리적 현상입니다. 다시 말해서, 사람들은 그들 자신의 독립적인 의견이나 행동을 형성하기보다는 군중을 따를 가능성이 더 높습니다. 타인들과의 관계에서 소외되지 않으려는 심리에서 비롯되는 현상입니다. '밴드왜건'이라는 용어는 사람들이 그룹에 합류하기 위해 뛰어오르는 마차나 퍼레이드 수레에서 유래했습니다. 마찬가지로, 사람들은 스스로 많은 생각이나 분석을 하지 않고 대중적인 경향에 참여합니다. 밴드왜건 효과는 정치에서 패션, 소비자 행동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맥락에서 관찰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정치에서, 사람들은 단순히 그 후보가 .. 2023. 4. 23.
역화 효과, 말싸움을 끝내고 싶나요? 역화 효과(Backfire effect)란? 역화(backfire)란 설비용어로 '되쏘는 불'이라는 뜻입니다. '역화 효과'란 자신의 신념과 모순되는 증거가 제시되더라도 반발 심리에 의해 기존의 편견이 더욱 강화되는 경향을 가리키는 심리학 용어입니다. 역효과의 법칙이라고도 합니다. 사람들은 자신의 믿음을 의심하게 만드는 증거를 접하게 되면, 그 증거를 살펴보고 자신의 믿음을 조정하기 보다 이러한 증거를 거부하고 원래 입장을 더욱 강화하려고 합니다. 상식에 따르면 나의 신념과 사실이 충돌한다는 정보를 접했을 때 그 정보를 고려해서 내 생각을 조정해야 할 것입니다. 그런데 왜 오히려 자신의 원래 믿음에 의문을 갖기보다 더욱 확신하게 되는 걸까요? 역화 효과는 크게 인지편향과 확증편향에 의해 나타납니다. 인지.. 2022. 12. 12.
가용성 폭포, 타인의 생각이 곧 내 생각이 되는 현상 가용성 폭포(Availability cascade)란? 가용성 폭포란 다수의 대중이 한꺼번에 같은 가용성 편향을 가지게 된 상태를 말합니다. 가용성 편향이 한 개인에게 일어나는 심리 현상이라면, 가용성 폭포는 사회적 현상입니다. 심리적 오류가 집단화된 것입니다. 즉, 어떤 정보와 그에 따른 감정이 연쇄반응을 일으켜서 사회적으로 손쓸 수 없이 확산되는 현상을 뜻합니다. 그래서 폭포라는 비유를 쓴 겁니다. 이 개념을 통해 특정 종류의 집단적 믿음이 어떻게 발생하는가를 설명할 수 있습니다. 가용성 폭포가 일어나는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복잡한 문제에 대해 단순하고 직설적인 해결 방안을 제시하는 새로운 아이디어가 사람들 사이에서 받아들여지기 시작합니다. 자신이 속한 사회에 다른 사람들이 새로운 아이디어를 받아.. 2022. 12.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