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더시스템7

가용성 편향, 노는 물이 중요한 이유 가용성 편향이란? (Availability heuristic) 머릿속에 잘 떠오르는 정보에 근거해서 어떤 사건이나 사례가 일어날 확률이 더 높다고 여기는 인지적 경향을 의미합니다. 가용성 발견법, 가용성 휴리스틱이라고도 합니다. 가용성 편향은 1973년 아모스 트버츠키와 대니얼 카너먼에 의해 처음 소개된 개념입니다. 먼저 가용성이란 무슨 뜻일까요? Availavility(가용성)의 형용사인 available은 '구할 수 있는, 이용할 수 있는'이란 뜻입니다. 당장 주변에서 손쉽게 구할 수 있다는 뜻입니다. 그렇다면 무엇을 쉽게 구한다는 뜻일까요? 바로 기억 또는 정보입니다. 쉽게 구할 수 있는 기억이나 정보에 편향된다는 뜻입니다. 즉, 어떤 문제를 마주쳤을 때 최근에 자주 접했거나 당장 머릿속에 잘 떠오.. 2022. 12. 9.
닻 내림 효과, 자신도 모르게 호구가 되는 이유 닻 내림 효과(anchoring effect)의 정의 배가 어느 지점에 닻(anchor)을 내리면 닻과 배를 연결한 밧줄의 범위 내에서만 움직일 수 있습니다. 이처럼 처음 접한 정보가 기준점이 되어 판단에 영향을 미치는 현상을 '닻 내림 효과'라고 합니다. 즉 사람들이 어떤 판단을 할 때 초기에 접한 정보 때문에 새로운 정보를 수용하지 못하고 합리적으로 판단하지 못하는 행동 특성을 말합니다. 다른 말로 '기준점과 조정 휴리스틱', '정박 효과'라고도 합니다. 닻 내림 효과는 심리학에서 가장 강력학 효과 중 하나입니다. 이 현상은 행동 경제학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에이머스 트버스키(Amos Tversky)와 대니얼 카너먼(Daniel Kahneman)이 최초로 제시한 개념입니다. 트버스키와 카너먼은 '사람.. 2022. 12. 8.
모호성의 오류, 인간이 본능적으로 싫어하는 것 모호성의 오류 설명 모호성 오류란 의사결정을 할 때 정보 부족이나 '모호성'에 의해 영향을 받는 인지 편향을 뜻합니다. 이 용어는 1961년 미국 경제학자인 다니엘 엘스버그가 처음 주장했습니다. 사람은 결과가 확실하지 않은 선택지보다 잘 알려졌거나 확실한 선택지를 고르는 경향이 있습니다. 명확한 결과에 안정감을 느끼도록 진화했기 때문입니다. 원시 시대에는 다른 사람이 먼저 갔던 길, 안전하다고 확인된 길을 따라가는 게 생존에 유리했습니다. 안전하다고 알려진 풀이 아니라 새로운 약초를 먹었을 때 독초라면 죽을 수도 있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대부분의 사람들은 유리하지만 결과가 확실하지 않은 선택지보다 덜 유리하더라도 결과가 확실한 선택지를 더 선호합니다. 쉽게 말하면 더 나은 결과를 줄 지라도 잘 모르는 .. 2022. 12. 7.